타원 곡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원 곡면은 타원 다발이 주어진 곡면으로, 대수 곡면의 한 종류이다. 타원 곡면은 복소다양체론과 4차원 매끄러운 다양체 이론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며, 타원 곡선과 유사한 성질을 보인다. 타원 곡면의 예시로는 타원 곡선과 곡선의 곱공간, 고다이라 차원이 1인 대수 곡면, 엔리퀘스 곡면, 고다이라 곡면 등이 있다. 타원 곡면의 특이올은 유한하며, 유리 곡선의 합집합으로 나타나며, 고다이라 구니히코와 앙드레 네롱에 의해 분류되었다. 타원 곡면의 모노드로미는 SL(2, '''Z''')의 공액류이며, 표준 묶음 공식은 곡면의 분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로그 변환은 타원 곡면의 올의 중복도를 변경하는 변환으로, 코다이라 차원을 변경하거나 대수 곡면을 비대수 곡면으로 만들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복소곡면 - K3 곡면
K3 곡면은 표준 선다발이 자명하고 2차원 아벨 다양체가 아닌 비특이 대수 곡면으로, 콤팩트 칼라비-야우 다양체로서 끈 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기하학적 성질을 가진다. - 복소곡면 - 델 페초 곡면
델 페초 곡면은 대수적으로 닫힌 체 K에서 정의되는 차원 2의 파노 다양체이자 유리 곡면으로, 사영 평면의 부풀리기 또는 P1 × P1과 동형이며, 차수가 최대 9이고 이론 물리학에도 활용된다. - 대수곡면 - K3 곡면
K3 곡면은 표준 선다발이 자명하고 2차원 아벨 다양체가 아닌 비특이 대수 곡면으로, 콤팩트 칼라비-야우 다양체로서 끈 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기하학적 성질을 가진다. - 대수곡면 - 델 페초 곡면
델 페초 곡면은 대수적으로 닫힌 체 K에서 정의되는 차원 2의 파노 다양체이자 유리 곡면으로, 사영 평면의 부풀리기 또는 P1 × P1과 동형이며, 차수가 최대 9이고 이론 물리학에도 활용된다. - 벡터 다발 - 법다발
법다발은 다양체 $M$에 매장된 다양체 $N$의 접다발을 $M$의 접다발로 확장한 몫다발로, 리만 다양체에서는 법선 공간들의 모임으로 정의되며 여법선 다발과 관련이 깊다. - 벡터 다발 - 접다발
접다발은 매끄러운 다양체 위의 각 점에 접하는 벡터 공간들을 모아놓은 공간으로, 국소 좌표계를 사용하여 정의되며, 사영 사상을 통해 매끄러운 벡터 다발을 이루고, 다양체의 미분 구조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타원 곡면 | |
---|---|
개요 | |
유형 | 대수 곡면 |
정의 | 2차원 복소수 사영 대수 다양체 또는 그 쌍유리 동치인 대수 곡면 |
관련 개념 | 타원 곡선 아벨 다양체 대수 곡면 엔리케스-고다이라 분류 |
정의 | |
영어 | Elliptic surface |
일본어 | 楕円曲面 (Daenkyokumen) |
한국어 | 타원 곡면 (타원면 X) |
성질 | |
기본 성질 | 특이점이 없는 완비 대수 곡면에서, 사영 대수 곡선으로의 전사 사상 f: X → C이 존재한다. f의 거의 모든 올은 종수 1의 비특이 곡선이다. C의 일반적인 점에 대해 f의 올은 타원 곡선이다. |
분류 | |
엔리케스-고다이라 분류 | 엔리케스-고다이라 분류에 속한다. |
2. 정의
'''타원 곡면'''은 '''타원 다발'''(elliptic fibration영어)이 주어진 곡면이다. 여기서 타원 다발이란 타원 곡면에서 대수 곡선으로 가는, 고유( proper영어) 연결(connected영어) 매끄러운 사상에 대해 그곳의 거의 모든 올이 타원곡선인 올다발이다. 타원 곡선이 아닌 올은 '''특이올'''(singular fiber)이라고 한다.
대수 곡면의 엔리퀘스-고다이라 분류에서 타원 곡면은 꽤 중요한 종류이다. 이는 대수 곡면의 중요한 예로, 복소다양체론과 4차원 매끄러운 다양체 이론에서 비교적 잘 이해되는 분류이다. 이는 대수적 수체 위의 타원곡선과 비슷하여, 여기에서 많은 성질을 유추할 수 있다.
3. 특성
4. 예
5. 특이올의 분류
고다이라 구니히코[5][6]와 앙드레 네롱[7]이 타원 곡면의 특이올을 분류하였다. 특이올의 구조는 존 테이트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특이올은 유리 곡선의 합집합이며, 특이점을 갖거나 0이 아닌 중첩수를 갖는 유한한 종류로 나타난다. "최소 특이올"은 대략 "최소 곡선을 갖지 않는"이라는 뜻이며, 가능한 최소 특이올의 목록과 그 성질은 아래 표와 같다.
고다이라 부호 | 네롱 부호 | 기약 성분수 | 교차 행렬 |
---|---|---|---|
I0 | A | 1 (타원형) | 0 |
I1 | B1 | 1 (이중점을 가짐) | 0 |
Iv (v≥2) | Bv | v (v개의 서로 다른 교차점) | 아핀 Av-1 |
mIv (v≥0, m≥2) | Iv (중복도 m) | ||
II | C1 | 1 (첨점을 가짐) | 0 |
III | C2 | 2 (2차인 한 점에서 만남) | 아핀 A1 |
IV | C3 | 3 (모두 한 점에서 만남) | 아핀 A2 |
I0* | C4 | 5 | 아핀 D4 |
Iv* (v>0) | C5,v | 5+v | 아핀 D4+v |
IV* | C6 | 7 | 아핀 E6 |
III* | C7 | 8 | 아핀 E7 |
II* | C8 | 9 | 아핀 E8 |
다발의 원의 교차 행렬은 기하학적으로 음의 반정부호(negative semidefinite영어)여야 하며, 연결되고 대칭이어야 한다. 또한 최소성을 만족하기 위해 대각선에는 -1이 없어야 한다. 그러한 행렬은 영행렬이거나 A·D·E형 딘킨 도표의 카르탕 행렬이어야 한다.
교차 행렬은 특이올의 종류를 결정하는데, 다음 세 가지 예외가 있다.
- 교차 행렬이 영행렬이면 특이올은 타원 곡선(I0), 이중점(I1), 또는 첨점(II)이다.
- 교차 행렬이 아핀 A1이면, 2개의 원이 다중치 2이다. 이들은 차수가 1인 두 점에서 만나거나(I2), 차수가 2인 한 점에서 만난다(III).
- 교차 행렬이 아핀 A2이면, 3개의 원이 2점끼리 만난다. 이들은 3개의 서로 다른 점이거나(I3), 모두가 한 점에서 만난다(IV).
이 목록은 모든 비중복 특이올에 해당한다. 중복 특이올은 단일 연결이 아닌 다발에만 존재하며, 이는 Iv형 다발이다.
5. 1. 특이올의 종류
특이올(singular fiber영어)의 종류는 유한하다. 이들은 유리 곡선의 합집합이며, 특이점을 갖거나 0이 아닌 중첩수(multiplicities)를 갖는다 (따라서 해당하는 다발은 비축소 스킴이다). 타원 곡면의 특이올의 분류는 고다이라 구니히코[5][6]와 앙드레 네롱[7]이 발견하였다. 특이올의 구조는 존 테이트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다음은 가능한 최소(minimal) 특이올의 목록이다. 여기서 "최소 특이올"이란 대략 "최소 곡선을 갖지 않는"이라는 뜻이다.
고다이라 부호 | 네롱 부호 | 기약 성분수 | 교차 행렬 |
---|---|---|---|
I0 | A | 1 (타원형) | 0 |
I1 | B1 | 1 (이중점을 가짐) | 0 |
Iv (v≥2) | Bv | v (v개의 서로 다른 교차점) | 아핀 Av-1 |
mIv (v≥0, m≥2) | Iv (중복도 m) | ||
II | C1 | 1 (첨점을 가짐) | 0 |
III | C2 | 2 (2차인 한 점에서 만남) | 아핀 A1 |
IV | C3 | 3 (모두 한 점에서 만남) | 아핀 A2 |
I0* | C4 | 5 | 아핀 D4 |
Iv* (v>0) | C5,v | 5+v | 아핀 D4+v |
IV* | C6 | 7 | 아핀 E6 |
III* | C7 | 8 | 아핀 E7 |
II* | C8 | 9 | 아핀 E8 |
기하학적으로, 다발의 원의 교차 행렬은 음의 반정부호(negative semidefinite영어)여야 하며, 연결되고, 대칭이며, 대각선에는 -1이 없어야 한다(최소성으로부터). 그러한 행렬은 영행렬이거나 A·D·E형 딘킨 도표의 카르탕 행렬이어야 한다.
교차 행렬은 특이올의 종류를 결정하는데, 단 다음과 같은 세 예외가 있다.
- 만약 교차 행렬이 영행렬이면 특이올은 타원 곡선이거나 (I0), 이중점이 있거나(type I1), 첨점(type II)이다.
- 만약 교차 행렬이 아핀 A1이면, 2개의 원이 다중치 2이다. 이들은 차수가 1인 두 점에서 만나거나 (type I2), 차수가 2인 한 점에서 만난다(type III).
- 만약 교차 행렬이 아핀 A2이면, 3개의 원이 2점끼리 만난다. 이들은 3개의 서로 다른 점이거나 (type I3), 모두가 한 점에서 만난다 (type IV).
이 목록은 모든 비중복(non-multiple) 특이올 전부이다. 중복(multiple) 특이올은 단일 연결이 아닌 다발에만 존재하며, 이는 Iv형 다발이다.
5. 2. 교차 행렬과 특이올 유형
특이올(singular fiber영어)은 유한한 종류를 가지며, 유리 곡선들의 합집합이다. 이들은 특이점을 가지거나 0이 아닌 중첩수를 갖는다. 타원 곡면의 특이올 분류는 고다이라 구니히코와 앙드레 네롱이 발견했으며, 존 테이트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그 구조를 계산할 수 있다.[5][6][7]최소 특이올("최소 곡선을 갖지 않는"이라는 의미) 목록은 다음과 같다.
고다이라 부호 | 네롱 부호 | 기약 성분수 | 교차 행렬 |
---|---|---|---|
I0 | A | 1 (타원) | 0 |
I1 | B1 | 1 (이중점 포함) | 0 |
Iv (v≥2) | Bv | v (v개의 서로 다른 교차점) | 아핀 Av-1 |
mIv (v≥0, m≥2) | Iv (중복도 m) | ||
II | C1 | 1 (첨점 포함) | 0 |
III | C2 | 2 (1개의 2차 교차점에서 만남) | 아핀 A1 |
IV | C3 | 3 (모두 1개의 점에서 만남) | 아핀 A2 |
I0* | C4 | 5 | 아핀 D4 |
Iv* (v>0) | C5,v | 5+v | 아핀 D4+v |
IV* | C6 | 7 | 아핀 E6 |
III* | C7 | 8 | 아핀 E7 |
II* | C8 | 9 | 아핀 E8 |
기하학적으로, 다발의 원의 교차 행렬은 음의 반정부호, 연결, 대칭이어야 하며, 최소성에 의해 대각선에 -1이 없어야 한다. 이러한 행렬은 영행렬이거나 A·D·E형 딘킨 도표의 카르탕 행렬이어야 한다.
교차 행렬은 다음 세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 특이올의 종류를 결정한다.
- 교차 행렬이 영행렬이면 특이올은 타원 곡선(I0), 이중점(I1), 또는 첨점(II)이다.
- 교차 행렬이 아핀 A1이면, 2개의 원이 다중치 2이다. 이들은 차수가 1인 두 점에서 만나거나(I2), 차수가 2인 한 점에서 만난다(III).
- 교차 행렬이 아핀 A2이면, 3개의 원이 2점끼리 만난다. 이들은 3개의 서로 다른 점이거나(I3), 모두가 한 점에서 만난다(IV).
6. 모노드로미
각 특이 섬유 주위의 모노드로미는 2 × 2 정수 행렬의 그룹 SL(2, '''Z''')에서 잘 정의된 공액류이다. 행렬식이 1이다. 모노드로미는 매끄러운 섬유의 제1 호몰로지 그룹('''Z'''2와 동형)이 특이 섬유 주위를 돌면서 어떻게 변하는지를 설명한다. 특이 섬유와 관련된 이러한 공액류의 표현은 다음과 같다.[1]
섬유 | 교차 행렬 | 모노드로미 | j-불변량 | 매끄러운 자취의 그룹 구조 |
---|---|---|---|---|
Iν | affine Aν-1 | |||
II | 0 | 0 | ||
III | affine A1 | 1728 | ||
IV | affine A2 | 0 | ||
I0* | affine D4 | in | ||
Iν* (ν≥1) | affine D4+ν | if ν is even, if ν is odd | ||
IV* | affine E6 | 0 | ||
III* | affine E7 | 1728 | ||
II* | affine E8 | 0 |
유형 II, III, IV, I0*, IV*, III* 또는 II*의 특이 섬유의 경우, 모노드로미는 SL(2,'''Z''')에서 유한한 차수를 갖는다. 이것은 타원 섬유화가 그러한 섬유에서 잠재적 좋은 축소를 갖는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즉, 밑 곡선의 분기 유한 피복 후에는 특이 섬유를 매끄러운 타원 곡선으로 대체할 수 있다. 어떤 매끄러운 곡선이 나타나는지는 표의 j-불변량에 의해 설명된다. 복소수에서, ''j''-불변량 0을 갖는 곡선은 6차 자기 동형 그룹을 갖는 유일한 타원 곡선이며, ''j''-불변량 1728을 갖는 곡선은 4차 자기 동형 그룹을 갖는 유일한 타원 곡선이다. (다른 모든 타원 곡선은 2차 자기 동형 그룹을 갖는다.)
단면이 있는 타원 섬유화의 경우, '''야코비 타원 섬유화'''라고 하며, 각 섬유의 매끄러운 자취는 그룹 구조를 갖는다. 특이 섬유의 경우, 매끄러운 자취의 이 그룹 구조는 밑 필드가 복소수라고 가정하고 표에 설명되어 있다. (아핀 딘킨 다이어그램 로 주어진 교차 행렬을 갖는 특이 섬유의 경우, 매끄러운 자취의 성분 그룹은 딘킨 다이어그램 를 갖는 단순히 연결된 단순 리 군의 중심과 동형이며, 여기에 나열되어 있다.) 특이 섬유의 그룹 구조를 아는 것은 타원 섬유화의 모델-베이유 군 (단면의 군)을 계산하는 데 유용하며, 특히 그 비틀림 부분군을 계산하는 데 유용하다.
7. 표준 묶음 공식
대수 곡면의 엔리퀘스-고다이라 분류에서 타원 곡면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는 대수 곡면의 대표적인 예시이며, 복소다양체론과 4차원 매끄러운 다양체 이론에서 비교적 잘 이해되는 대상이다. 대수적 수체 위의 타원곡선과 유사하여, 많은 성질을 유추할 수 있다.
타원 곡면이 곡면의 분류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이해하기 위해, 최소 타원 곡면 ''f'': ''X'' → ''S''의 표준 묶음을 계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다이라는 복소수 위에서 다음과 같은 '''표준 묶음 공식'''을 증명했다.[2]
:
여기서 ''f''의 다중 파이버(있는 경우)는 로 표현된다. 여기서 정수 ''m''''i''는 2 이상이고, 계수의 최대 공약수가 1인 제수 ''D''''i''가 있다. ''L''은 매끄러운 곡선 ''S''에 대한 어떤 선 묶음이다. ''S''가 사영적(또는 콤팩트)이면, ''L''의 차수는 ''X''와 ''S''의 정칙 오일러 지표로 결정된다. 즉, deg(''L'') = χ(''X'',''O''''X'') − 2χ(''S'',''O''''S'')이다. 표준 묶음 공식은 ''K''''X''가 ''S'' 위의 어떤 '''Q'''-제수의 당김과 '''Q'''-선형적으로 동등함을 의미한다. 여기서 타원 곡면 ''X'' → ''S''가 최소라는 점이 중요하다.
우에노 켄지의 연구를 바탕으로 후지타 타카오(1986)는 표준 묶음 공식의 유용한 변형을 제시하여, ''K''''X''가 매끄러운 파이버의 변화에 어떻게 의존하는지를 보였다.[3] 즉, 다음의 '''Q'''-선형 동등성이 성립한다.
:
여기서 '''판별식 제수''' ''B''''S''는 ''f''의 특이 파이버와 관련된 명시적인 유효 '''Q'''-제수이다. '''모듈 제수''' ''M''''S''는 인데, 여기서 ''j'': ''S'' → '''P'''1는 매끄러운 파이버의 ''j''-불변량을 나타내는 함수이다. (따라서 ''M''''S''는 제수류군 Cl(''S'')과 피카르 군 Pic(''S'') 사이의 식별을 통해 '''Q'''-제수의 '''Q'''-선형 동등류이다.) 특히 ''S''가 사영적이면 모듈 제수 ''M''''S''는 음이 아닌 차수를 가지며, 타원 곡면이 동치적(즉, 모든 매끄러운 파이버가 동형)일 때만 차수가 0이다.
후지타 공식의 판별식 제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여기서 ''c''(''p'')는 '''로그 표준 임계값''' 이다. 이는 특이 파이버의 유형에 따라 0과 1 사이의 명시적인 유리수이다. 구체적으로, lct는 매끄러운 파이버 또는 유형 의 경우 1이고, 다중 파이버 의 경우 1/''m'', 의 경우 1/2, II의 경우 5/6, III의 경우 3/4, IV의 경우 2/3, IV*의 경우 1/3, III*의 경우 1/4, II*의 경우 1/6이다.
표준 묶음 공식(후지타 형식)은 가와마타 유지로 등에 의해 임의 차원의 칼라비-야우 다양체의 패밀리로 일반화되었다.[4]
8. 로그 변환
로그 변환은 타원 곡면 또는 올뭉치에서 밑 공간의 점 ''p'' 위에 있는 중복도 1의 올을 중복도 ''m''의 올로 바꾸는 변환이다. 반대로도 가능하여, 높은 중복도의 올을 모두 중복도 1의 올로 바꿀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모든 중복 올을 제거할 수 있다.
로그 변환은 고다이라 차원을 변경하거나 대수 곡면을 비대수 곡면으로 바꿀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하다.
'''예시:'''
''L''을 '''C'''의 격자 '''Z'''+i'''Z'''로 하고, ''E''를 타원 곡선 '''C'''/''L''로 둔다. 그러면 ''E''×'''C'''에서 '''C'''로의 투영 사상은 타원 올뭉치이다. 0 위의 올을 중복도 2의 올로 바꾸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c'',''s'')를 (''c''+1/2, ''-s'')로 매핑하는 차수 2의 ''E''×'''C'''의 자기 동형 사상이 있다. 이 군 작용으로 ''E''×'''C'''의 몫을 ''X''로 둔다. (''c'',''s'')를 ''s''2로 매핑하여 ''X''를 '''C''' 위의 올 공간으로 만든다. (''c'',''s'')를 (''c''-log(''s'')/2πi,''s''2)로 매핑하여 0 위의 올을 제외한 ''X''에서 0 위의 올을 제외한 ''E''×'''C'''로의 동형 사상을 구성한다. 0 위의 두 올은 서로 동형이 아닌 타원 곡선이므로, 올뭉치 ''X''는 확실히 모든 '''C'''에 대해 올뭉치 ''E''×'''C'''와 동형이 아니다.
그러면 올뭉치 ''X''는 0 위에 중복도 2의 올을 가지며, 그렇지 않으면 ''E''×'''C'''처럼 보인다. ''X''는 중심 0에서 ''E''×'''C'''에 차수 2의 로그 변환을 적용하여 얻은 것이라고 한다.
참조
[1]
논문
Barth et al. (2004), section V.10, Tables 5 and 6; Cossec and Dolgachev (1989), Corollary 5.2.3.
[2]
논문
Barth et al. (2004), Corollary III.12.3.
[3]
논문
Kollár (2007), section 8.2.
[4]
논문
Kollár (2007), section 8.5.
[5]
저널
On the structure of compact complex analytic surfaces I
1964
[6]
저널
On the structure of compact complex analytic surfaces II
https://archive.org/[...]
1966
[7]
저널
Modeles minimaux des variétés abeliennes sur les corps locaux et globaux
http://www.numdam.or[...]
196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